정석가 - 어석 구조 분석 내용 분석 형성시기 및 작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30 10:25
본문
Download : 정석가 - 어석 구조 분석 내용 분석.hwp
.
정석가 - 어석 구조 analysis 내용 analysis 형성시기 및 작자
정석가 - 어석 구조 분석 내용 분석 형성시기 및 작자 정석가 - 어석 구조 분석 내용 분석 형성시기 및 작자
정석가 - 어석 구조 분석 내용 분석 형성시기 및 작자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순서
즉 <정석가>는 노래가락을 11번 반복하야 완창하나, 노랫말의 의미는 6단락으로 나누어진다는 것이다. 의미단락을 나누어 보면, 11단락 중에 첫째 단락은 그것만으로 하나의 연을 이루고, 나머지 10단락은 2
“木頭雕作小唐 筋子拈來壁上栖 此鳥膠膠報時節 慈顔始似日平西” 『益齋亂藁』卷4小樂府
Download : 정석가 - 어석 구조 분석 내용 분석.hwp( 78 )
<鄭石歌>는 6연 11분절로 된 국문시가이다.『樂章歌詞』와 『樂學偏考』에 전편이 수록되어 전하고, 『時用鄕樂譜』와 『琴合字譜』에는 악보와 함께 가사 서사 부분이 실려 있따 <정석가>는 이 이상 실증할만한 문헌자료(data)의 뒷받침이 부족하여 고려 작품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으나, 『益齋亂藁』小樂府에 결사 부분이 한역되어 있고, 『악학편고』에 고려시대의 노래로 기록한 점과 작품의 표현기법이나 내용과 정조 등으로 미루어 볼 때 고려의 작품으로 간주하고 있따 이경자, 「정석가 신고」, 『어문학』75, 한국어문학회, 2002.
이 새가 꼬끼오하고 시절을 알리거든, 어머니 얼굴 비로소 기우는 해처럼 되시길.”
또한 불가능한 상황을 설정하여 자신의 소망을 이루겠다는 <정석가>의 표현 방식을 고려시대 작품인 <五冠山>에서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김명준, 『악장가사 연구』, 도서출판 다운샘, 2004.
정석가 - 어석 구조 분석 내용 분석 형성시기 및 작자
설명
정석가 - 어석 구조 분석 내용 분석 형성시기 및 작자
.
“나무를 새겨서 작은 당계 만들어, 줄에 달아서 벽 위에서 살게 했네.
『악장가사』는 <정석가>란 제하에 “○”를 표시하고 11단락으로 나누어 놓았고, 『악학편고』卷 4 俗樂章 上 에는 <정석가6장>이라는 제호 밑에 이 노래를 싣고 장별로 줄을 바꾸어놓고 2장에서 6장까지는 각 장에 “○”표시로 2단락씩 나누고 있따 김문기, 『한국고전시가원전』, 태학사, 2001. 『악장가사』소재 <정석가>는 111~112쪽에, 『시용향악보』에 전하는 <정석가>는 149~150쪽에 각각 실려 있따
.
정석가 - 어석 구조 분석 내용 분석 형성시기 및 작자
이와 같이 단락의 구분방법이 다른 것은 악곡상의 단락과 문학상이 다르기 때문이다 최철, 『고려국어가요의 해석』, 연세대학교출판부, 1996.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