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학기 우리말의구조 교재전범위 the gist요약노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1-28 03:28
본문
Download : 20201_핵심요약노트_국문3_우리말의구조.pdf
”는 문법에 어긋나는 말이다.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 해설포함 *
1) 형태적 characteristic(특성)
제1장 문법과 우리말의 문법적 characteristic(특성)
- 무정명사: 감정이 없는 생물(식물)과 사물을 가리키는 명사
우리말의구조,방통대우리말의구조,방송대우리말의구조,우리말의구조요약,우리말의구조핵심
제14강 피동과 사동
- 접미사(조사, 어미 포함)의 종류가 다양하고, 이들이 중요한 문법적 기능을 함
순서
① 규범문법: 언어를 규범대로 바로 쓰도록 하기 위하여 학교(중·고등학교)에서 가르치는 문법, 학교문법, 전통문법(넓은 의미의 문법)
Download : 20201_핵심요약노트_국문3_우리말의구조.pdf( 30 )
제2강 형태소
1) 넓은 의미의 문법과 좁은 의미의 문법
제5강 품사(1): 품사의 분류
- 유정명사: 감정을 가진 생물(사람, 동물)을 가리키는 명사
① 좁은 의미의 문법
설명
2) 문법의 의미
- 굴절론: 한 단어 내에서 어간에 어미가 결합하는 규칙을 다루는 분야
제12강 경어법
제13강 시 제
② 기술문법: 문법 현상을 실제 있는 그대로 과학적으로 기술하는 문법, 1930년대 미국을 중심으로 일어났던 구조주의 기술언어학에서 기원된 용어, 理論(이론) 문법, 학문문법
① 올바른 문장을 만드는 규칙체계
- 형태론: 형태소와 그 형태소들이 단어를 이루는 규칙을 다루는 분야
다.
1) 문법론의 범위
- 중략 -
방송통신 > 핵심요약노트
② 형태론
- 교착어: 어근에 접미사가 결합되어 새로운 단어를 형성하거나 문법 관계를 표시하는 언어, 첨가어
제1강 문법과 우리말의 문법적 특성
- 통사론: 단어들이 구(句)나 문장을 이루는 규칙을 다루는 분야





2) 문법 연구의 관점에 따른 분류
① 넓은 의미의 문법: 말(문장)을 만드는 모든 규칙, 모든 언어는 일정한 규칙의 지배를 받음
제4강 합성어와 파생어
2. 문법의 연구방법
제11강 문장의 확장
- 조어론: 합성이나 파생에 의해 새 단어가 만들어지는 규칙을 다루는 분야
2020년 1학기 우리말의구조 교재전범위 the gist요약노트
② 유정명사와 무정명사가 형태론적으로 구분
제8강 조 사
② 문법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문법론, 문법학, grammar)
제15강 부 정
② 좁은 의미의 문법: 음운규칙에 상대되는 개념(槪念)으로서의 문법
제6강 품사(2): 체언, 수식언
1. 문법의 개념(槪念)
제7강 품사(3): 용언, 독립언, 관계언
제10강 문장종결법
(예) “철수에 물을 주었다.
제9강 문장ingredient
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 속함
3. 우리말의 문법적 characteristic(특성)
제3강 단어와 단어의 구성요소
제1강 문법과 우리말의 문법적 특성 제2강 형태소 제3강 단어와 단어의 구성요소 제4강 합성어와 파생어 제5강 품사(1): 품사의 분류 제6강 품사(2): 체언, 수식언 제7강 품사(3): 용언, 독립언, 관계언 제8강 조 사 제9강 문장성분 제10강 문장종결법 제11강 문장의 확장 제12강 경어법 제13강 시 제 제14강 피동과 사동 제15강 부 정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 해설포함 *
(예) 3학년 때 배우는 ‘우리말의 구조’는 문법(문법론) 과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