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약학][물리치료] 기능적 전기자극[FES]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1-07 13:58
본문
Download : [의학,약학][물리치료] 기능적 전기자극[FES].hwp
또한 중추신경손상에 의한 사지마비환자에서는 마비된 근의 지배신경을 전기 자극으로 흥분시키므로써 수동적인 근수축을 초래하여 근위축을 방지하고 수축력을 증가시키는 치 료적 전기자극(Therapeutic Electrical Stimulation : TES)과 전기자극에 의하여 수동적인 동작을 초래하여 독립적으로 일상생활을 가능케하는 기능적 전기자극(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 FES)이 연구되고 있다아
1. 기능적 전기자극의 기본원리
마비된 근의 운동기능을 수동적으로 수행시키기 위하여 각 동작에 대한 외부의 명령을 마비근의 지배신경에 전달하여 근을 수축시키…(생략(省略))
[의학,약학][물리치료],기능적,전기자극[FES],의약보건,레포트
[의학,약학][물리치료] 기능적 전기자극[FES]
설명
![[의학,약학][물리치료]%20기능적%20전기자극[FES]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5B%EB%AC%BC%EB%A6%AC%EC%B9%98%EB%A3%8C%5D%20%EA%B8%B0%EB%8A%A5%EC%A0%81%20%EC%A0%84%EA%B8%B0%EC%9E%90%EA%B7%B9%5BFES%5D_hwp_01.gif)
![[의학,약학][물리치료]%20기능적%20전기자극[FES]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5B%EB%AC%BC%EB%A6%AC%EC%B9%98%EB%A3%8C%5D%20%EA%B8%B0%EB%8A%A5%EC%A0%81%20%EC%A0%84%EA%B8%B0%EC%9E%90%EA%B7%B9%5BFES%5D_hwp_02.gif)
![[의학,약학][물리치료]%20기능적%20전기자극[FES]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5B%EB%AC%BC%EB%A6%AC%EC%B9%98%EB%A3%8C%5D%20%EA%B8%B0%EB%8A%A5%EC%A0%81%20%EC%A0%84%EA%B8%B0%EC%9E%90%EA%B7%B9%5BFES%5D_hwp_03.gif)
![[의학,약학][물리치료]%20기능적%20전기자극[FES]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5B%EB%AC%BC%EB%A6%AC%EC%B9%98%EB%A3%8C%5D%20%EA%B8%B0%EB%8A%A5%EC%A0%81%20%EC%A0%84%EA%B8%B0%EC%9E%90%EA%B7%B9%5BFES%5D_hwp_04.gif)
순서
Download : [의학,약학][물리치료] 기능적 전기자극[FES].hwp( 21 )
레포트/의약보건
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부운동신경계의 손상을 갖는 사지마비, 편마비 또는 측마비등의 환자에서 운동기능을 복원시키기 위한 전기자극법이 개발되고 있다아
생물전기가 1790년경 Galvani에 의하여 처음 intro 된 이래 19세기 말부터 전기가 치료의 목적으로 사용되기 처음 하였다.
[의학,약학][물리치료] 기능적 전기자극[FES]
[의학,약학][물리치료] 기능적 전기자극[FES] , [의학,약학][물리치료] 기능적 전기자극[FES]의약보건레포트 , [의학 약학][물리치료] 기능적 전기자극[FES]
- 기능적 전기자극(FES) -
인체의 장기는 그 기능의 일부가 상실되었을 때 보상기능이 있으며, 특히 중추신경계의 손상은 신경가소성(neural plasticity)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실된 기능을 어느 정도 보상할 수 있다아 그러나 교통사고, 뇌졸중으로 인하여 중추신경계의 손상에 의한 운동 및 감각의 장해, 근위축, 무혈성괴사등이 초래되었을 때 신경가소성만을 기대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며, 약물치료, 신경이식술 또는 여러 가지 물리치료법을 이용하지만 그 결과 는 기대하기 곤란하다. 심장의 기능을 보조하는 심박조율기(cardiac pacemaker), 또는 정신과 영역에서 사용되는 전기충격요법등이 대표적이며, 현재는 생물 전기현상을 응용하여 인공안구, 인공청각장치, 인공성대등 많은 인공장기를 개발하고 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