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 DMZ의 생태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6 00:43
본문
Download : DMZ생태계.hwp
DMZ 민통선지역의 생태연구를 위해 1996년 말부터 분야별 전문가가 참여해 실시한 현장조사결과, 수생식물 99종, 육상식물 361종이 조사되었고, 곤충 114종, 양서ㆍ파충류 20종, 포유류 11종, 어류 24종, 조류 58종이 확인됐다. 민통선 지역에 대하여는 그간 많은 조사와 논의가 있었으나, 비무장지대 내부에 대하여는 한번도 조사를 체계적으로 추진한 事例가 없는 상황에서 전 지역을 대상으로 연차적으로 추진하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설명
-비무장지대-
순서





첫째, 비무장지대 내부 생태계 보전을 위하여 정부 수립 이후 최초로 주기적인 생태계조사를 할 예정이다.
비무장지대 일대는 지난 반세기 동안 사람들의 접근이 통제되면서 야생 동·식물의 낙원으로 변했고, 지금은 한반도를 대표하는 생태계의 보고(寶庫)가 되었다. 조사대상은 식생·조류·포유류 등 9개 분야다. 아울러 비무장지대의 체계적 보전을 위하여 국제기구와의 협력사업인 UNDP/GEF 사업의 일환으로 판문벌 인근 습지 등에 대한 조사사업도 실시된다.
[생물] DMZ의 생태계
비무장지대(DMZ)의 생태계에 대하여 조사하고, 이에대한 政府의 노력 및 역할과 앞으로 생태계가 어떻게 보존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결론이 적혀있따
Download : DMZ생태계.hwp( 16 )
정부는 야생동식물의 낙원이 된 비무장지대 일원의 생태계보전을 위하여 다양한 시책을 추진하고 있다아
비무장지대 생태계 환경 자연 DMZ 38선 분단선
비무장지대(DMZ)의 생태계에 대하여 조사하고, 이에대한 정부의 노력 및 역할과 앞으로 생태계가 어떻게 보존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결론이 적혀있다. 이 생태계조사 결과는 보호지역 지정 및 각종 생태계보전사업의 기초 로 활용될 것이다.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다. 특히, 덤불해오라기, 검은댕기해오라기, 쇠뜸부기사촌, 뜸부기, 쇠제비갈매기, 쏙독새, 청딱다구리, 오색딱다구리, 쇠딱다구리, 물까치, 청호반새 등 11종의 희귀종과 천연기념물 제 203호로 지정된 재두루미를 비롯해, 두루미, 붉은배새매, 참매, 알락개구리매, 잿빛개구리매, 황조롱이, 소쩍새, 솔부엉이, 흰꼬리수리, 개리, 고니, 큰고니 등 13종의 천연기념물이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