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찰과 향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30 10:20본문
Download : 향찰과 향가.hwp
고려 예종의「도이장가」는 그 마지막 일례가 된다
향가
전래 문헌에 의하면 향가 명칭에는 도솔가·사뇌가·향가 등의 용례가 보인다.
향찰과 향가에 대한 글입니다. 처음 민요의 단계에서 처음 된 서정시는 현존하는 한역가(漢譯歌)나 일부의 향가 형식으로 미루어…(투비컨티뉴드 )
향찰과향가
향찰과 향가
Download : 향찰과 향가.hwp( 62 )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향찰과 향가에 대한 글입니다. 이러한 사실로 보아 향찰은 6~7세기 전후에 발달하여「찬기파랑가」,「제망매가」,「도천수관음가」,「안민가」,「도솔가」등 향가 14수 가운데 5수가 지어진 경덕왕 대(742~765) 무렵에 그 전성기에 달했으며, 균여대사의「보현십원가」11수로 그 명맥이 고려에 이어졌으나 점차 쇠퇴하였다. 시대적으로 보면 6세기말 7세기초인 신라 진평왕 때의「서동요」·「혜성가」가 처음이고, 10세기 균여의 마지막 작품인「보현십원가」가 그 마지막 작품이다.향찰과향가 , 향찰과 향가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순서
다.
향가의 형식은 4구체·8구체·10구체로 구분된다 4구체가 4수, 8구체가 2수, 10구체가 19수 있다 이 중에서 4구체가 가장 오랜 형식이었으리라고 본다. 따라서 향가라 하면 도솔가나 사뇌가를 포함한 총칭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현재 남아 있는 향가는「삼국유사」14수,「균여전」소재에 11수로 모두 25수이다.
「혜성가(彗星歌)」로 진평왕 대(579~632)의 것이다. 향가란, 광의로는 중국(China) 시에 대한 우리 나라의 독특한 시가를 뜻한다 하겠으나, 협의로는 신라 시대로부터 고려 초기에 이르는 사이에 제작된 이두식 문자로 표기된 시가를 이름이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