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국어 표기법의 특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18 19:35본문
Download : 근대국어 표기법의 특징.hwp
당시의 사람들 사이에는 일정한 표기의 방식이 관행처럼 통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국가나 공동기관에서 정해 놓은 정서법이 존재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근대국어를 표기한 많은 문헌에서 일종의 표기원리가 발견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근대국어 표기법의 특징은 일정한 규칙 속에서 다양성을 보이는 표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2. 근대국어 표기법의 특징
근대국어의 표기법상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간접문자의 확대 사용이다.
순서
근대국어의 표기법상에 나타나는 몇 가지 특징을 살피고 이 근대국어 표기법이 중세국어의 표기법이나 현대국어를 표기하는 정서법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살펴 봤습니다. 중세국어의 표기법에서는 ‘ㅇ’를 後行文字가 모음임을 표시하여 쓰는 정도의 간접문자가 있었지만 근대국어에 와서 이 간접문자의 기능이 현저하게 나타난다.
그렇다고 근대국어를 표기하는 표기법에 일정한 규칙이 없었다고 말할 수는 없다. 만약 한글 표기에 일정한 규범이 존재하였다면 한글 표기에도 틀림없이 교정이 이루어졌을텐테 그렇지 않다고 하는 것은 한글 표기에 일정한 규범이 정해져 있지 않았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다. 間接文字(indirect graphy)는 表音文字에서 종종 발견되는데 한 문자가 자기 자신의 음가는 가지고 있되 어느 경우에는 자신의 음가를 실현시키지 못하고 단지 隣接文字의 音價를 암시하여 주는 경우의 문자를 말한다. 근대국어 문헌에 보이는 어두의 합용병서에는 공통적으로 ㅅ과 ㅂ이 앞에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들은 제 음가인 〔s〕나 〔p〕를 실현하는 것이 아니고 後行子音文字인 ‘ㄱ,ㄷ,ㅂ,ㅅ,ㅈ’를 각각 된소리가 되게 한다. 근대국어에 와서 어두자음군의 어두 된소리화가 전반적으로 일어난다. , 근대국어 표기법의 특징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다. ㅅ과 ㅂ이 간…(drop)
근대국어의 표기법상에 나타나는 몇 가지 특징을 살피고 이 근대국어 표기법이 중세국어의 표기법이나 현대국어를 표기하는 정서법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살펴 봤습니다. 특히 자음 그 중에서도 어두 된소리를 표기하는 語頭合用並書의 표기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근대국어 표기법의 특징
Download : 근대국어 표기법의 특징.hwp( 89 )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1. 근대국어 표기법의 위치
2. 근대국어 표기법의 특징
근대국어를 논의하는데 제일 먼저 대두되는 문제는 근대국어시기에 근대국어를 표기하는 일정한 규범이 존재했었는가 하는 점이다. 그런데 중앙에서 간행한 문헌들 중 교정한 교정본들을 살펴보면 그 교정한 부분이 거의 모두 한자음의 교저에 중점을 두고 있을 뿐 한글 표기에 대한 교정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