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 후 한국 문제 에 대한 미 소 공동위원회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0-22 02:36
본문
Download : 해방 후 한국 문제에 대한 미 소 공동위원회에 대하여.hwp
이승만은 단정 수립운동에 나섰고 김구는 임定義(정이) 법통을 내세워 반탁 자주독립의 방향으로 김규식은 미군定義(정이) 후원으로 좌우익합작에 몰두하게 된다 좌익측은 3상 결정에 지지를 보내면서 공위재개운동을 계속 견지 하였다.
3. 제 2차 미소 공동위원회
제 2차 공위는 우파 민족주위 세력이 좌파 세력을 힘으로 견제할 수 있는 …(To be continued )


설명
해방 후 한국 문제 에 대한 미 소 공동위원회에 대하여 , 해방 후 한국 문제 에 대한 미 소 공동위원회에 대하여 인문사회레포트 , 해방 후 한국 문제 미 소 공동위원회 대하여
순서
Download : 해방 후 한국 문제에 대한 미 소 공동위원회에 대하여.hwp( 35 )
다.
2. 제 1차 미소 공동위원회
공동위원회를 위한 예비회담이 1946년 1월 16일 부터 26일 까지 미소 양국 사령관간에 열린데 이어 3월 20일 부터는 한국 政府(정부)수립및 신탁통치등의 협상을 위해 서울에서 제 1차 미소 공동위원회가 개최되었다.
해방,후,한국,문제,미,소,공동위원회,대하여,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해방 후 한국 문제 에 대한 미 소 공동위원회에 대하여
해방 후 한국 문제 에 대한 미 소 공동위원회에 대하여
해방 후 한국 문제에 대한 미 소 공동위원회에 대하여
1. 공동위원회에 대한 좌,우익의 입장
신탁통치안에 대한 돠,우익의 입장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자 국내 정당세력들이 화합을 모색하였다. 미소 양국은 이미 예비회담에서 상당한 시각차를 보여준 바와 같이 본회담 역시 양국의 입장에는 큰alteration(변화) 를 가져오지 못했다. 그러나 conclusion(결론)을 얻지 못하채 실패하였고 오히려 친일파 처리 문제와 관련하여서는 감정 대립으로까지 비화 되기에 이르렀다. 그 결과 24차에 걸친 회담끝에 어느 문제도 해결하지 못하고 5월 8일에 무기 휴회에 들어갔다. 또한 좌우익 양파는 민전과 비상국무회의를 결성하여 각기 연립적 기구를 가짐에 따라 좌우익은 완전히 다른 정치노선을 걷는 계기가 되었다.
이렇게 되자 모스크바 3상회의 결정에 따른 한국 임시政府(정부)수립에 대한 展望(전망) 은 어려워졌으며 국내 정치세력은 개별적인 진로를 모색하기 처음 했다.
우익측 : 지금은 건국이 가장 우선적이며 친일파 처단이나 국내 숙청문제 같은 것은 급할 것이 없다 하여 친일파 제거를 더 이상 거론하지 않앗다.
좌익측 : 친일파란 우리 조선의 독립과 동포를 팔아 Japan인으 사욕을 취하고 동포를 해치는 모리배와 매국노가 우리 조선의 중대한 과도기에 있어서 아직도 그 잔재를 청산하지 못하고 깨닫지 못한자 라고 규정하고 건국과업에 제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