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설화에 나타난 석숭에 관한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0-21 10:12
본문
Download : 한중 설화에 나타난 석숭에 관한 고찰.hwp
Download : 한중 설화에 나타난 석숭에 관한 고찰.hwp( 29 )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설명
1. 서 론
2. china정사와 설화에 나타난 석숭
3. 한국 설화에 나타난 석숭
4. 결 론
삼천갑이라는 긴 명을 살았던 동방삭이 장수의 대명사가 되듯이 석숭은 부자의 대명사로 인식되었는데, 석숭이 등장하는 설화는 『한국구비문학대계』에 22편, 임석재의 『한국구전설화』에 1편, 『조선족민간고사선』에 1편 실려 있다 석숭은 어떤 인물이기에 이렇게 많이 한국 설화에서 구전되는가? china설화에서는 어떻게 이야기 되고 있으며, 한국설화와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석숭에 대해 한국인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본고에서는 이런 의문을 풀기 위해 china의 『진서』, 『이십육사대사전』, 『선진한위진남북조선시』, 『습유기』, 『세설신어』, 『태평광기』, 『백화야사』, 『china민간고사전집』, 『china전기』, 『china전설고사대사전』, 『중화야사대박람』을 비롯하여, 한국의 『파한집』, 『동국이상국집』, 『대동야승』, 『시화총림』, 『조선조문헌설화집요』를 살펴 보았으며, 앞에 든 구비문학자료(資料) 외에 『조선족구비문학총서』도 참고하였다. 여기에서 한국 구비문학의 중요한 인물인 석숭에 대해서 석숭이 한국설화에서 많이 구전되는 이유와 중국설화에서의 석숭에 대한 내용과 한국설화와는 어떤 관계이며, 석숭에 대해 한국인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에 대해서 여러 문헌을 참고하여 살펴 보았습니다. 『진서』에 나타난 석숭의 전체적 모습은 『이십육사대사전』에 다음과 같이 요약되어 있다
석숭(249-300)의 자는 계륜이며, 아명은 제노이다. 문학적 재질이 있었으며 처음에는 …(생략(省略))
한국설화에서 석숭은 많이 구연되고 있으며, 무가에서도 <삼신풀이>의 단골로 불려진다.
한중 설화에 나타난 석숭에 관한 고찰






다. 여기에서 한국 구비문학의 중요한 인물인 석숭에 상대하여 석숭이 한국설화에서 많이 구전되는 이유와 china(중국) 설화에서의 석숭에 대한 내용과 한국설화와는 어떤 관계이며, 석숭에 대해 한국인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에 상대하여 여러 문헌을 참고하여 살펴 보았습니다. , 한중 설화에 나타난 석숭에 관한 고찰인문사회레포트 ,
한국설화에서 석숭은 많이 구연되고 있으며, 무가에서도 <삼신풀이>의 단골로 불려진다.
2. china정사와 설화에 나타난 석숭
석숭은 위진 남북조시대 진나라 사람으로 『진서』 열전에 올라 있으며, 6권으로 된 본인의 문집이 남아 있다고 한다. 발해 남피(지금의 하북성 남피) 사람으로 석포의 아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