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문학] 현대 중국(中國)어의 사동 구문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05 05:50
본문
Download : 중어중문과_15.hwp
즉, 영어에서 비-사동동사 die에 대하여 kill로써 사동표현이 실현되는 것은 어휘적 사동법에 해당되고…(drop)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중어중문과_15.hwp( 83 )
순서
설명
[중문학] 현대 중국(中國)어의 사동 구문 연구
현대중국어,유표지사동문,중국어구문,인문사회,레포트
1. 서 론 3.1 “使令” 구문, 2. 有標識 使動文 3.2 “使動用法” 구문, 2.1 “使”字 구문 3.3 “動結構造” 구문, 2.2 “給”字 구문 3.4 “得”字 구문 , 2.3 “把”字 구문 4. 결 론 , 3. 無標識 使動文 , FileSize : 51K , [중문학] 현대 중국어의 사동 구문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현대중국어 유표지사동문 중국어구문
다.






1. 서 론 3.1 “使令” 구문, 2. 有標識 使動文 3.2 “使動用法” 구문, 2.1 “使”字 구문 3.3 “動結構造” 구문, 2.2 “給”字 구문 3.4 “得”字 구문 , 2.3 “把”字 구문 4. 결 론 , 3. 無標識 使動文 , 자료를내려받다 : 51K
1. 서 론 3.1 “使令” 구문
2. 有標識 使動文 3.2 “使動用法” 구문
2.1 “使”字 구문 3.3 “動結構造” 구문
2.2 “給”字 구문 3.4 “得”字 구문
2.3 “把”字 구문 4. 결 론
3. 無標識 使動文
使動(causative)이란 사동주가 피사동주로 하여금 어떤 행위나 동작을 하게 하거나 어떤 상황에 놓이게 하는 態(voice)이다. 어휘적 사동법은 동사의 어근 자체가 사동 표현을 수행하는 것이고 형태적 사동법은 파생적으로나 굴곡적으로 사동표현을 실현하는 경우이다. 사동법은 보통 세 가지로 구분한다. 그리고 통사적 사동법은 Cause 과 결과를 분리된 두 동사로 각각 실현하는 경우이다.